티스토리 뷰
목차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를 해야 되는 달입니다. 시업을 영위하고 계신 분 또는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려고 하시는 분들은 업태와 종목 선정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데요. 이유는 업종코드에 따라 세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업종코드 의미와 업종코드 조회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업종코드란?
업종코드는 조세목적으로 국세청에서 업종을 분류한 코드이며,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서 통계청에서 분류한 코드입니다.
업종코드 |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 |
주관기관 | 국세청 | 통계청 |
분류목적 | 조세목적 | 통계작성 |
코드자리 | 6자리 | 5자리 |
업종코드는 원칙적으로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를 바탕으로 만들어집니다. 즉, 두 분류체계는 서로 매칭이 되며, 국세청에서는 이 두 분류체계의 연계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업자등록 업종이 매년 조금씩 변경되기 떄문에 분류연계표는 매년 조금씩 변경되고, 이는 홈텍스에서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 2024년 5월 업종코드-표준산업분류 연계표를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업종코드 6자리 의미
업종분류의 원칙은 한국표준산업분류를 따르지만, 산업이 변하고 적용의 탄력성을 가지기 위해서 새롭게 코드번호를 부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표에서 볼 수 있듯이 업종코드번호는 6자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6자리에 알파벳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알파벳에 해당하는 것이 사업자등록 신청서에 작성하는 업태, 즉 대분류이며, 대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분류가 업종코드 6자리입니다. 총 6자리 중 4자리 숫자까지가 세부 분류이며, 5~6자리 숫자가 사업자등록 신청서의 종목입니다.
업종코드 | 한국표준산업분류 코드 | ||||
자릿수 | 코드번호 | 업종 | 분류단계 | 코드번호 | 업 종 |
1 | G | 도매 및 소매업 | 대분류 | G | 도매 및 소매업 |
2 | 52 | 소매업:자동차 제외 | 중분류 | 47 | 소매업:자동차 제외 |
3 | 525 | 무점포 소매업 | 소분류 | 479 | 무점포 소매업 |
4 | 5251 | 통신 판매업 | 세분류 | 4791 | 통신 판매업 |
5~6 | 525101 | 전자상거래 소매업 | 세세분류 | 47912 | 전자상거래 소매업 |
525102 | 기타 통신 판매업 | 47919 | 기타 통신 판매업 | ||
525103 | 전자상거래 소매 중개업 | 47911 | 전자상거래 소매 중개업 | ||
525104 | SNS마켓 | 47911 | SNS마켓(전자상거래 소매중개업) | ||
525105 | 해외직구대행업 | 47911 | 해외직구대행(전자상거래 소매중개업) |
<사업자 업종코드의 구조 및 표준산업분류 코드와의 연계>
산업분류 중 알파벳이 업태를 의미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제 10차 개정 농업, 임업 및 어업(A)을 시작으로 국제 및 외국기관(U)까지 대분류 21개로 산업을 분류하고 있습니다. 아래 더보기를 열면 21개 대분류 산업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좀 더 자세한 산업분류코드를 확인하시려면 아래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 농업, 임업 및 어업
B. 광업
C. 제조업
D.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F. 건설업
G. 도매 및 소매업
H. 운수 및 창고업
I. 숙박 및 음식점업
J. 정보통신업
K. 금융 및 보험업
L. 부동산업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N. 사업시설 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O.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P. 교육서비스업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T.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소비 생산활동
U. 국제 및 외국기관
업종코드 조회방법
업종코드는 사업자등록증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홈텍스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나의 사업자 업종코드 조회
나의 사업자등록 업종코드는 '홈텍스 > My 홈택스 > 기타세무정보 > 사업자등록사항 및 담당자안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업종코드 조회방법
1) 다른 업종의 업종코드는 '홈텍스 > 기존 홈텍스 메뉴보기 > 조회/발급> 기타조회 > 기준·단순경비율(업종코드)'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2) 검색창에 '업종코드'로 입력하면 '기준단순경비율(업종코드) 조회' 서비스가 검색되며, 서비스 바로가기를 클릭하면 기준·단순경비율(업종코드)'를 조회하실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3) 1)번과 2)번 두가지 중 한가지 방법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이 화면에서 업종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한 후 검색을 누룹니다.

4) 3)번의 화면에서 업종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한 후 검색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키워드와 연관된 업종코드가 검색됩니다. 예를들어 검색창에 "만화"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만화와 관련된 업종들이 여러가지 검색되며, 이중 나의 사업에 해당하는 업종코드에 대해 세부 조회를 하고싶다면 <선택>버튼을 클릭합니다.

5) 나의 사업에 맞는 업종코드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세부사항이 조회되며, 이 화면에서 기준경비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조회방법
목차사업체를 운영하면서 공장을 매입하거나 건축할 때, 공장 업무에 관해 해당 지역에 상충하는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처럼 기업 활동을 진행하는데 업종 코드를 모르시는 분들
tech.happy-insigh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