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조회방법

쩐's tech 2024. 5. 26. 02:52

목차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공장을 매입하거나 건축할 때, 공장 업무에 관해 해당 지역에 상충하는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처럼 기업 활동을 진행하는데 업종 코드를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그래서 오늘은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조회방법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는 한국의 산업을 분류하고 정의하는 표준 체계로, 사업체(기업체)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활동을 활동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입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통계 작성 및 정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기준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기업들은 한국표준산업코드를 활용하여 자신의 산업 부문을 식별하고 제도 및 정책에 따라 업무를 수행합니다. 

    처음 사업을 시작하는 경우,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토지를 매입하는 경우, 공장을 짓기 위해 땅이 필요할 때에는 산업분류코드를 알아야 합니다. 특히,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을 때는 사업장 코드가 중요합니다. 산업단지에 입주할 수 있는지,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필요하며, 세액감면의 업종 기준을 체크할 때도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사업체를 운영할 경우에는 파악하고 있어야 할 기본정보입니다.

     

    분류단위

    산업분류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활동의 단위의 주된 산업활동에 따라서 분류하며, 활동 단위는 대분류를 결정하고 그 아래로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와 세세분류로 나누고 있습니다.

    분류단위는 대분류(1자리, 영문 대문자) 21개, 중분류(2자리 숫자) 77개, 소분류(3자리 숫자) 232개, 세분류(4자리 숫자) 495개, 세세분류(5자리 숫자) 1,196개로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와 업종분류 차이점

    한국표준산업분류는 통계청이 통계작성을 위해 만든 분류이며, 국세청이 조세행정을 위해 만든 분류가 업종분류입니다. 

    • 국세청 사업자등록 시 기입하는 업종분류 코드는 한국표준산업분류가 아닌 국세청 업종분류 코드입니다.
    •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는 5자리, 국세청 업종분류코드는 6자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한 업종코드 찾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류코드 조회방법

    분류코드는 통계청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통계청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KSIC 한국표준산업분류 > 분류검색을 선택합니다.

    통계분류포털

    • 좌측 세로로된 메뉴의 "검색"에서 "분류내용보기(해설서)"를 클릭합니다.

    통계분류포털-한국표준산업분류검색

    • 새로 열린 팝업창 분류내용보기(해설서)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를 입력합니다. 예제로 '서적'을 입력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검색됩니다. 이중 본인 사업과 적합한 분류코드를 선택하면 됩니다.

    • 추가적으로 선택한 분류코드를 클릭하면 분류내용보기가 상세히 나오며, 출력기능이 있어 출력하여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신개정

    한국표준산업분류는 국내 산업구조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그동안 9차례에 걸쳐 개정되었으며, 2017년 1월 13일에 제10차 개정분류를 고시하였습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상조서비스가 포함된 제11차 개정을 고시하고, 준비 과정을 거쳐 2024년 7월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최신개정 자료는 아래링크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11차 개정 주요 내용을 포함한 파일을 업로드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 제11차 개정 주요 내용.hwpx
    0.08MB

    반응형